한국판 뉴딜: 디지털, 그린, 안전망 강화, 대표과제 (댐, 지능형 정부 AI, 스마트 의료 인프라, 스쿨, 트윈, 산업단지, 국민안전 사회, 리모델링,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한국판 뉴딜 New Deal
우리나라의 경제와 사회를 새롭게(New) 변화시키겠다는 약속(Deal)입니다.
확고한 사람중심 포용국가 기반 위에
디지털(digital) 뉴딜과 그린(green) 뉴딜 두 개의 축으로 추진하며,
2025년까지 총160조원(국비 114.1조원)을 투입하고
총190.1만개 일자리를 만들겠습니다.
주요내용
10대 대표과제
데이터 댐
데이터 수집ㆍ가공ㆍ거래ㆍ활용기반을 강화하여 데이터 경제를 가속화하고 5세대 이동 통신(5G) 전국망을 통한
전(全)산업 5세대 이동 통신(5G)·인공지능(AI) 융합 확산
지능형(AI) 정부
5세대 이동 통신(5G)·블록체인 등 디지털 신기술을 활용, 국민에게 맞춤형 공공서비스를 미리 알려주고
신속히 처리해주는 똑똑한 정부 구현
스마트 의료 인프라
감염병 위험으로부터 의료진과 환자를 보호하고, 환자의 의료 편의 향상을 위해 디지털 기반 스마트 의료 인프라 구축
그린 스마트 스쿨
안전하고 쾌적한 녹색환경과 온ㆍ오프 융합 학습 공간 구현을 위해 전국 초·중·고등학교에
에너지 절감시설 설치 및 디지털 교육환경 조성
※ (그린) 태양광, 친환경 단열재 설치 + (디지털) 교실 와이파이(WiFi), 교육용 태블릿 피시(PC)보급 등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자율차, 드론 등 신(新)산업 기반 마련, 안전한 국토·시설관리를 위해 도로·지하공간·항만·댐 대상 「디지털 트윈*」 구축
* 가상공간에 현실공간・사물의 쌍둥이(Twin) 구현 → 시뮬레이션을 통해 현실 분석ㆍ예측
국민안전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국민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핵심기반 시설을 디지털화하고 효율적 재난 예방 및 대응시스템 마련
스마트 그린 산업단지
산업단지를 디지털 기반 고(高)생산성(스마트) + 에너지 고(高)효율·저(底)오염(그린) 등 스마트·친환경 제조공간으로 전환
그린 리모델링
민간건물의 에너지 효율 향상 유도를 위해 공공건축물이 선도적으로 태양광 설치·친환경 단열재 교체 등 에너지 성능 강화
그린 에너지
태양광·풍력(육상, 해상)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 생태계 육성을 위해 대규모 연구개발(R&D)·실증사업 및 설비 보급 확대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온실가스·미세먼지 감축 및 글로벌 미래차 시장 선점을 위해 전기·수소차 보급 및 노후경유차·선박의 친환경 전환 가속화
디지털뉴딜
D.N.A. 생태계 강화
1) 국민생활과 밀접한 분야 데이터 구축, 개방, 활용
2) 1,2,3차 전 산업 5G, AI 융합 확산
3) 5G, AI기반 지능형 정부
4) K-사이버 방역체계 구축
교육 인프라 디지털 전환
5) 모든 초중고에 디지털 기반 교육 인프라 조성
6) 전국 대학, 직업훈련기관 온라인 교육 강화
비대면 산업 육성
7) 스마트 의료 및 돌봄 인프라 구축
8) 중소기업 원격근무 확산
9) 소상공인 온라인 비즈니스 지원
SOC 디지털화
10) 4대 분야 핵심 인프라 디지털 관리체계 구축
11) 도시, 산단의 공간 디지털 혁신
12) 스마트 물류체계 구축
그린뉴딜
도시,공간,생황 인프라 녹색 전환
13) 국민생활과 밀접한 공공시설 제로에너지화
14) 국토, 해양, 도시의 녹색 생태계 회복
15) 깨끗하고 안전한 물 관리체계 구축
저탄소, 분산형 에너지 확산
16) 에너지관리 효율화 지능형 스마트 그리드 구축
17) 신재생에너지 확산기반 구축 및 공정한 전환 지원
18) 전기차, 수소차 등 그린 모빌리티 보급 확대
녹색산업혁신 생태계구축
19) 녹색 선도 유망기업 육성 및 저탄소, 녹색산단 조성
20) R&D, 금융 등 녹색혁신 기반 조성
안전망 강화
고용,사회안전망
21) 전 국민 대상 고용안전망 구축
22) 함께 잘 사는 포용적 사회안전망 강화
23) 고용보험 사각지대 생활, 고용안정 지원
24) 고용시장 신규진입 및 전환 지원
25) 산업안전 및 근무환경 혁신
사람투자
26) 디지털, 그린 인재 양성
27) 미래적응형 직업훈련 체계로 개편
28) 농어촌, 취약계층의 디지털 접근성 강화
출처: 기획재정부
기획재정부
경제동향, 지표, 예산 및 기금, 전자민원창구등 수록
www.moef.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