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기계발 경제 독서

돈의 원리 / 돈의 기초 - 돈의 진화 (수요와 공급, 거시 미시 경제학, 물물교환, 차용증, 화폐, 장단점, 교환, 과거, 근대 경제학, 경제 이론

by 꾸공 2020. 6. 16.

<돈의 원리> 돈의 기초 - 돈의 진화 (수요와 공급, 거시 미시 경제학, 물물교환, 차용증, 화폐, 장단점, 교환, 과거, 근대 경제학, 경제 이론

 

 

© sharonmccutcheon, 출처 Unsplash

 

돈의 진화

 

기원전 10000~기원전 3000년: 물물교환 

기원전 7000년부터: 거래 장부 

기원전 600~기원후 1100년:동전

1100~2000년:지폐 

2000년 이후: 디지털 화폐 

 

 

수요와 공급

수요와 공급의 법칙

 

 

거시 경제학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지표의 변화를 분석한다

- 통화량: 한 경제권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화폐 자사의 총량

- 실직자 수: 일자리를 찾지 못

하는 사람의 수

- 인플레이션: 매년 물가가 상승하는 폭

 

미시 경제학

기업과 가계 등 개별 경제 주체의 결정이 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 산업 조직: 독점과 담합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 임금: 노동 및 생산비에 의해 결정되는 급여 수준이 소비자 지출에 미치는 영향

 

 

오늘날 존재하는 돈의 총액: 80조 9000억 달러(2017년)

 

© m_b_m, 출처 Unsplash

 

물물교환, 차용증, 화폐

물물교환이 장단점

장점

- 거래 관계: 물자를 교환하는 사람들 사이에 거래 관계가 만들어진다.

- 실제 상품이 교환된다: 돈의 제 가치가 지켜지리라는 믿음에 의존하지 않는다.

단점

- 시장이 필요하다: 거래 당사자 간에 원하는 것이 맞아떨어져야 한다.

- 품목의 정가를 확립하기 어렵다: 염소 한 마리의 가치가 어느 날 어떤 상대에게는 얼마만큼의 가치로 교환되었다가 한 주 뒤에는 그 가치가 떨어질 수 있다.

- 상품의 분할이 어렵다: 예를 들어 살아있는 동물은 분할이 불가능한다.

- 대규모 거래가 어렵다: 염소 한 마리는 운송이 쉽지만 1000마리가 되면 이동이 어렵다.

 

차용증으로 교환

차용증은 다자 간 거래에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목으로 교환될 수 있다. 

(처음에 약정한 상품이 아닐 수도 있다.)

 

교환할 수 있는 상품에 관해 합의된 가치를 갖는 보편적 차용증

 

© stevepb, 출처 Pixabay

 

 

돈의 과거

 

 

근대 경제학의 등장

 

 

경제 이론과 돈